안드로이드 폰에서 앱을 사용할 때 위치 추적 알림이 계속 뜨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위치 추적을 활성화하면 편리하지만, 왠지 찝찝하기도 하다. 이 경우, 설정 앱에서 위치 추적 기능을 끌 수 있다. 위치 정보를 비롯해 카메라, 마이크, 사진 및 비디오 액세스 등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데 필요한 설정에 대해 알아보자.
대다수 국민이 사용
중인 스마트폰은
이름과는 달리
전혀 똑똑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사기 문자나
보이스 피싱은
해킹에 의한
개인정보 유출로
발생하는데, 사용자 개인의
부주의로 인한
개인정보 유출
사례가 많다. 스마트폰이 똑똑한 것은
사실이지만, 개인정보 보호
측면에서는 그렇지
못하다.
스마트폰은 개인정보 설정을
사용자의 자율에
맡긴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직접 개인정보
보호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할 수
있다는 뜻이다. 개인정보 유출을 막기
위해 스마트폰에서
개인정보 보호
및 위치
정보, MMS 문자 자동
수신 방지
등의 설정
방법을 찬찬히
살펴보자.
1. 개인정보 보호 설정하기
톱니바퀴 모양의 설정 앱을 눌러 설정 창으로 이동한 다음, ‘개인정보 보호’를 선택한다.
개인정보 보호에서 카메라, 마이크 등 앱 사용 권한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아래의 ‘진단 데이터 보내기’는 제품 및 서비스를 개선할 목적으로 스마트폰에서 진단 정보를 자동 수집해 제조업체로 보내는 기능이다. 진단 데이터를 바탕으로 스마트폰 오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목적이지만, 이 과정에서 개인정보도 함께 전송될 위험이 있어 해제하는 것이 안전하다.

2. MMS 문자 자동 수신 방지하기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문자는
일반 문자보다 문자 내용이 길거나 사진, 동영상 등 대용량 데이터가 포함된 멀티미디어 문자를 말한다. 간혹 링크 등을 포함한 일반 문자 형태의 스팸도 있지만, MMS 문자에
해킹 파일을 함께 전송하는 사례가 더 많다.
초기 스마트폰은 편의를
위해 MMS 문자가 자동
수신되도록 설정됐다. 하지만 해킹 파일이
설치되는 것을
막으려면 MMS 자동 수신을
해제해야 한다. 설정 경로는 다음과 같다 [메시지 > 설정 > 추가 설정 > 멀티미디어 메시지(MMS)]. 그리고 아래와 같은 화면에서 토글 버튼을
비활성화하면 된다. ‘지원되지 않는 파일
첨부하기’도 함께
차단하는 것이
좋다.

다만, 자동 다운로드 설정을 해제해도 문자를 수신할 수 있다. MMS 문자를 받으면 제목만 표시되는데, 이때 사용자 의사에 따라 삭제 또는 다운로드 가능하다.
3. 위치 정보 설정하기
스마트폰에서
앱을 설치할 때 대부분 위치 정보를 허용한다. 하지만 위치 정보가 반드시 필요한 일부 운동 또는 배달
앱이 아닌 이상 위치 정보를 굳이 노출할 필요는 없으며, 앱을 사용 중일 때만 위치 정보 수집을 허용할
수 있다.
설정 경로는 다음과 같다 [설정 > 위치 > 앱 권한]. 여기서 ‘항상 허용됨’과 ‘사용 중에만 허용됨’이라는 2가지 옵션이 표시돼 있다. ‘항상 허용됨’은 스마트폰이 켜져 있을 때 24시간 동안 사용자 위치가 수집되는 것을 의미한다. 위치가 실시간으로 노출되는 것이 꺼림직하면 ‘앱 사용 중에만 허용’으로 설정하면 된다.
4. 기타 개인정보 보호 설정하기
설정 > 애플리케이션> 앱 권한에서 마이크와 카메라 항목을 누르면 개인정보에
대한 액세스가 허용된 앱의 개수를 알 수 있다. 마이크, 카메라
기능이 굳이 필요 없으면 해제하는 것이 좋다.
또한, 위험하거나 유해한 앱을 검색하는 ‘구글 PLAY 프로텍트(Google Play Protect)’ 앱을 다운받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다. 이를 통해 보안 기능을 높이고
개인정보 유출을 막을 수 있다.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은 아이폰과 달리 승인되지 않은 출처에서 앱을
다운로드할 위험이 항상 존재한다. 따라서 가능하면
설정 > 보안 탭에서 승인되지 않은 앱의 다운로드를 차단하고 보안을 확보해야 한다.
이 정보에 대한 저작권은 AhnLab에 있으며 무단 사용 및 도용을 금합니다.
단, 개인이 비상업적인 목적으로 일부 내용을 사용하는 것은 허용하고 있으나, 이 경우 반드시 출처가 AhnLab임을 밝혀야 합니다.
기업이 이 정보를 사용할 때에는 반드시 AhnLab 의 허가를 받아야 하며, 허가 없이 정보를 이용할 경우 저작권 침해로 간주되어 법적인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컨텐츠 이용약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정보 이용 문의 : contents@ahnlab.com
'강남서초송파2605.3202'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급보증보험증권보증서안내강남서초송파강동 (0) | 2023.01.13 |
---|---|
증여상속세연부연납보증보험증권지급보증서강남선릉서초송파 (0) | 2023.01.11 |
개업공인중개사보증보험증권지급보증서공제증서 (0) | 2022.11.29 |
증여상속세연부연납보증보험증권지급보증서 (0) | 2022.11.17 |
상속세증여세연부연납보증보험증권지급보증서 (0) | 2022.11.16 |